공공데이터포털 서비스들의 “기본적” 기능

조교님께 직접 메일을 통해 확인했다.

결국 핵심적으로 포함해야 하는 내용은 데이터 검색/등록이다.

“간단한” 서비스

데이터 검색 및 등록을 핵심 기능으로 포함하면서도 몇 가지 필수적인 기능들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공공데이터포털을 보자면 아래와 같다.

위 기능들을 넣으려면 필수적으로 회원관리 기능이 요구된다. 현재 계획으로는 관리자/일반 계정으로 나누어 관리자 계정에서는 추가적으로 데이터 등록을 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EC2기반 개발

EC2에서는 AMI를 통해 운영체제를 선택할 수 있다.

대표적인 선택지로는 Amazon Linux, Ubuntu, Windows Server가 있다.

강의 내용에서는 Ubuntu를 활용했고, 시험삼아 띄운 서버 역시 Ubuntu다.

다만 EC2”기반” 개발이라는 말이 정말 만에 하나 EC2내부에서 개발하라는 의미는 아닌지 모르겠다. 당연히 현실성이 떨어지는 소리다. 억지로 Windows Server에다 VS코드 설치하면 될 것 같긴 하다.

어쨌든, 어떤 AMI를 선택해야 할 지 정해야 한다.

S3에서 관리하는 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은 REST api 기반으로 api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당연히 데이터가 DB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S3를 DB로 사용하는 예제가 있기 때문에 확인해봐야 한다.